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UC 지원 일문일답-10] E2 비자로 2년 체류했다면

외국서 이수한 고교과정 인정여부 알려면 UC입학국 웹사이트 안내문 참조할 것 고교생활은 아무래도 대학준비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과목을 선택할 때나 클럽활동 과외활동 및 봉사활동을 할 때도 대학진학과 연결지켜볼 수 밖에 없다. 그 가운데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종종 의문을 갖게 된다. 어떻게 하면 더 대학진학시 도움이 될까. 물론 개인마다 그 질문의 내용은 다양할 수 있다. UC는 이러한 문제에 봉착한 UC지망학생들을 위해 학생들이 종종 가질 수 있는 크고 작은 의문사항 들에 대해 웹사이트를 통해 답을 주고 있다. 마침 웹사이트에 공개된 질문사항들은 캘리포니아 고교 카운슬러가 UC에 질문하고 답을 얻은 내용들로 한인 학생들에게도 충분히 닥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시리즈로 정리한다. 오늘은 고교 성적순위로 평가되는 유학생들이 지원서 작성시 가질 수 있는 의문점에 대하여 알아본다. -타주에서 1.5년의 고교생활을 보낸 학생으로 현재 2년과정의 IB프로그램에 있다. 이 학생의 경우 UC지원요건중 하나인 미국 역사학을 듣지 못했다. UC지원이 가능한가. ▷유학생 자격으로 UC에 지원하는 학생은 미국역사학을 이수하지 않아도 지원이 가능하다. 고교과정에서 자국의 역사학을 배운 기록이면 충분하다. - 한국에서 온 학생이다. E-1 비자를 갖고 있으며 가주에 거주한 지는 2년 됐다. 유학생이 아닌 캘리포니아 거주자 자격을 지원할 수 있는가? 또 지원서에 적을 거주지 주소를 현재 살고 있는 캘리포니아 주소를 넣어야 하는가 아니면 한국 주소를 넣야 하는가. ▷캘리포니아 거주자 자격으로 지원이 가능하다. 각 캠퍼스 당 60달러의 지원서를 지불하면 된다. 이는 캘리포니아 고교를 졸업한 기록과 캘리포니아에서 12개월 이상 거주한 학생들이라면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사항이다. 그러나 거주지 주소는 한국 주소를 적어야 하며 현재 살고 있는 곳의 주소는 '우편용 주소(mailing adress)'칸에 적어 넣으면 된다. -파키스탄에서 이수한 과목을 미국내 고교에서 인정하는 과목인 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각 캠퍼스내 입학국에 있는 '유학생 전문 부서'에서 각 국가별 인정 과목을 별도로 심사하기 때문에 일다 지원서를 제출하면 된다. -일본에서 고교과정을 이수한 학생이다. 이 경우 알파벳 점수 대신 1~4의 숫자로 성적표를 받는다고 한다. 지원서에 어떤 식으로 성적을 기입할 수 있는가? ▷UC 어드미션스 웹사이트에는 '다른 나라에서 공부한 학생들의 지원서 기입 방법'이 국가별로 자세히 안내되어 있다. 이를 참고할 거을 권한다.

2008-08-15

[UC 지원 일문일답-9] ELC 학생들 UC 합격률 높다

고교생활은 아무래도 대학준비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과목을 선택할 때나 클럽활동 과외활동 및 봉사활동을 할 때도 대학진학과 연결지켜볼 수 밖에 없다. 그 가운데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종종 의문을 갖게 된다. 어떻게 하면 더 대학진학시 도움이 될까. 물론 개인마다 그 질문의 내용은 다양할 수 있다. UC는 이러한 문제에 봉착한 UC지망학생들을 위해 학생들이 종종 가질 수 있는 크고 작은 의문사항 들에 대해 웹사이트를 통해 답을 주고 있다. 마침 웹사이트에 공개된 질문사항들은 한인 학생들에게도 충분히 닥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시리즈로 정리한다. 오늘은 고교 성적순위로 평가되는 ELC(Eligibility by Local Context) 심사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의문점에 대하여 알아본다. -내년 졸업 예정인 학생이 ELC 해당학생으로 평가를 받았으나 졸업 후 UC에 바로 진학하지 않고 1년 후에 지원한다면 여전히 ELC해당학생으로 받은 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가? ▷ELC 자격으로 UC진학을 1년 미루도록 허가하는 캠퍼스는 UC데이비스 뿐이다. 졸업 후 아무 때나 UC에 지원하더라도 고교 과정에서 받은 ELC번호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신입생 입학 자격으로다. 그러나 만일 쉬는 동안 커뮤니티 칼리지 등에서 대학 학점을 땄다면 신입생이 아닌 편입생 자격으로 지원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때에도 지원서에 ELC 번호를 기입하면 심사에서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ELC 자격으로 입학을 보장하는 캠퍼스는 어디 어디인가? ▷2008년 가을의 경우 UC데이비스 어바인(댄스와 음악 전공자 컴퓨터 사이언스 공대 제외) UC머세드와 리버사이드 샌타바버러 등이 ELC지원자를 모두 합격시켰다. 웹사이트를 통해 ELC자격 조건을 자세히 게재하고 있는 바와 같이 ELC자격조건을 충족시키려면 교내 순위 외에 UC에서 요구하는 모든 과목을 3.0 이상으로 이수해야 한다. - ELC 자격조건에 포함된 외국어 과정은 몇 년 인가? 많은 학생들이 영어 외 외국어를 3년 이상 이수하지만 실제로 ELC에서 요구하는 기간은 2년 뿐이다. 그러나 경쟁률이 높은 캠퍼스에서 ELC자격이 아닌 일반 심사대상으로 평가받으려면 3~4년 이수할 것을 권한다. - 사실 UC는 3.0이상의 GPA로 UC에서 요구하는 과목을 모두 이수한 학생에게는 UC진학을 보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3.0이상의 성적을 받은 학생이 굳이 ELC자격까지 받을 필요가 있는가? ▷ELC 대상학생은 입학심사시 '총체적 평가' 즉 성장환경이나 가족환경 등을 감안한 평가에서 다른 학생들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경쟁률이 높은 캠퍼스에 합격할 가능성이 높다. 각 캠퍼스별 합격자 비율에서 ELC번호를 가진 학생들의 합격률이 높은 것은 바로 이 이유다. 김소영 기자

2008-08-08

[UC 지원 일문일답-8] 온라인 접수 '유학생은 소셜번호 빈칸 OK'

고교생활은 아무래도 대학준비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과목을 선택할 때나, 클럽활동, 과외활동 및 봉사활동을 할 때도 대학진학과 연결지켜볼 수 밖에 없다. 그 가운데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종종 의문을 갖게 된다. 어떻게 하면 더 대학진학시 도움이 될까. 물론 개인마다 그 질문의 내용은 다양할 수 있다. UC는 이러한 문제에 봉착한 UC지망학생들을 위해 학생들이 종종 가질 수 있는 크고 작은 의문사항 들에 대해 웹사이트를 통해 답을 주고 있다. 마침 웹사이트에 공개된 질문사항들은 한인 학생들에게도 충분히 닥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시리즈로 정리한다. 지난 주에 이어 UC지원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의문점에 대하여 알아본다. -3학기제 성적 기입은 온라인 지원서에 어떤 식을 기입할 수 있는가? ▷온라인 지원서에는 '학기 타입'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항목을 클릭해 '3학기'에 표시하면 3개의 성적을 모두 기입할 수 있다. -11학년 과정을 유럽에서 마쳤으며 그 곳에서 IB프로그램도 선택했다. 그런데 미국처럼 ABC의 성적이 표시되지 않았다. 알파벳 성적으로 어떻게 전환시킬 수 있을까? ▷굳이 알파벳 성적으로 전환시킬 필요는 없다. 지원서에서 '성적 타입'을 클릭해 원래 성적을 기입하면 된다. 아울러 스텝 7의 '추가 사항'에서 이같은 내용을 설명하면 된다. 아울러 UC캠퍼스는 모두 국제성적 시스템의 전문가들이 있어서 다른 국가에서 받은 성적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받을 수 있다. - 블록 스케줄로 운영되는 학교에 재학중이라며 지원서 작성시 어떤 학기로 표시해야 하는가? ▷스텝 4 파트 1에서 보면 각 과목별로 몇 개의 최종점수를 받는 지를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각 과목별로 한 번의 성적만 받으면 'full' 두 개의 성적을 받으면 'semester' 등으로 표시하면 된다. - 혹 지원서에 있는 'personal statement'와 관련해 도움을 구할 만한 ㄱ기관이 있는가? ▷UC의 'Admission website'에 가면 퍼스털 스테이트먼트 즉 에세이 작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소셜 시큐리티 번호를 갖고 있지 않은 불체자 입장의 학생이다. 소셜 번호를 묻는 항목에 어떤 식으로 답을 하면 좋을까? ▷우선 AB 540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 지를 알아보는 것이 좋다. 지원서에서 이러한 학생들을 위해 묻는 세 가지의 질문 '캘리포니아에서 지난 12개월 이상 체류하였는가?''18세 미만의 나이라면 부모나 보호자가 캘리포니아에 거주하고 있는가?''현재 캘리포니아내 고교나 대학에 재학중이라면 지난 2년 이상 캘리포니아 학교에 재학했는가?'에 답해야 한다. 그리고 다음 세가지의 항목에는 답하지 않고 빈칸으로 남겨도 좋다. -Social Security number -Are you a US citizen? -Country of permanent residence 김소영 기자

2008-08-01

[UC 지원 일문일답-7] CC 수강 '포기' 클래스도 기입해야

고교생활은 아무래도 대학준비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과목을 선택할 때나 클럽활동 과외활동 및 봉사활동을 할 때도 대학진학과 연결지켜볼 수 밖에 없다. 그 가운데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종종 의문을 갖게 된다. 어떻게 하면 더 대학진학시 도움이 될까. 물론 개인마다 그 질문의 내용은 다양할 수 있다. UC는 이러한 문제에 봉착한 UC지망학생들을 위해 학생들이 종종 가질 수 있는 크고 작은 의문사항 들에 대해 웹사이트를 통해 답을 주고 있다. 마침 웹사이트에 공개된 질문사항들은 한인 학생들에게도 충분히 닥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시리즈로 정리한다. 오늘은 UC지원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의문점에 대하여 알아본다. - 고교과정에서 커뮤니티 칼리지에 등록해 UC에서 인정하는 학점을 벌써 40학점이나 이수하였다면 12학년 11월에 지원서를 작성하는 시점에서 신입생으로 지원해야 하는가 아니면 편입생 자격으로 지원해야 하는가?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풀타임으로 재학한 경우가 아니라면 신입생자격으로 지원해야 한다. - F학점을 받은 클래스를 재수강하였을 경우 현재 재학중인 고교에서는 두번 째 수강한 클래스에서 A학점을 받았더라도 'R'표시만 한다. 이런 경우 지원서에 어떻게 적어야 하는가? ▶학교에서 대학으로 보내지는 성적증명서와는 관계없이 첫번 째와 두번 째 수강한 클래스의 성적을 정확히 기입해야 한다. -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클래스를 수강했다가 학기중에 포기(withdrew)했다 하더라도 지원서에 기입해야 하는가? ▶중간에 포기한 클라스도 역시 성적증명서에는 그대로 나타난다. 지원서에 적을 때에도 빠짐없이 기입해야 한다. -UC에 지원했다가 합격한 후 다른 대학에 입학하기로 결정했다가 다시 마음을 바꿔 UC에 지원하기로 하였다면 다시 지원서 작성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가? ▶그렇다. 이런 경우에는 신입생이 아닌 편입생 자격으로 지원서를 작성해야 한다. -만일 현재 재학중인 고교에서는 서머스쿨 클래스를 다음 학년이 아닌 이전 학년으로 표기한다고 하면 실제로 UC지원서에서는 어떻게 적어야 하는가? ▶대부분의 고교에서는 9학년을 마치고 10학년에 진학하기 전의 서머스쿨에서 택한 클래스는 10학년 과정으로 인정한다. UC도 마찬가지다. 학교 규칙과는 관계없이 다음학년 과정으로 지원서에 기입하면 된다. -만일 7학년이나 8학년에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American Sign Language'코스를 선택했다고 하면 이를 지원서에 어떤식으로 표기해야 하는가? ▶커뮤니티 칼리지에서는 각 코스에 대해 '수강조건(prerequite)을 명시한다. Sign Language 1의 경우 고교 영어 2년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에 대해서만 수강을 허락하기 때문에 이런 경우 고교 영어 2년 과정(4학기)으로 지원서에 기입하면 된다. -이민자 학생인 경우 외국어를 선택하는 대신 모국어를 SAT서브젝트 시험이나 AP시험에서 선택해서 패스하는 것으로 대신하곤 한다. 이런 경우 지원서에 어떻게 기입해야 하는가. ▶지원서 스텝 7에 가면 '추가사항'을 적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 외국어를 이수하는 조건으로 선택한 시험에 대해 설명하면 된다.

2008-07-25

[UC 지원 일문일답-6] AP Calculus 시험 통과하면…

고교생활은 아무래도 대학준비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과목을 선택할 때나 클럽활동 과외활동 및 봉사활동을 할 때도 대학진학과 연결지켜볼 수 밖에 없다. 그 가운데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종종 의문을 갖게 된다. 어떻게 하면 더 대학진학시 도움이 될까. 물론 개인마다 그 질문의 내용은 다양할 수 있다. UC는 이러한 문제에 봉착한 UC지망학생들을 위해 학생들이 종종 가질 수 있는 크고 작은 의문사항 들에 대해 웹사이트를 통해 답을 주고 있다. 마침 웹사이트에 공개된 질문사항들은 한인 학생들에게도 충분히 닥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시리즈로 정리한다. 오늘은 필수이수과목(Subject a~g Requirement) 수칙에 대해 알아본다 - a~g란 무엇인가? ▷사회(역사) 영어 수학 실험과학외국어 예능 선택과목 등 7개 과목을 말한다. -ESL코스도 영어과목으로 인정되는가? ▷34단계 ESL만 영어과목으로 인정된다. -만일 다른학교에서 1학기에 유럽역사를 이수하고 현재 학교로 전학한 후에 2학기에는 세계사를 선택했다며 1년 역사과목으로 인정되는가? ▷그렇다. 반드시 한 과목을 1년내내 이수해야 한다는 조건은 붙지 않는다. 다른 두 과목이어도 관계없다 -만일 9학년 영어에서 D를 받았고 이를 만회하기 위해 12학년에 일반영어와 더불러 'mythology'를 선택했다면 '영어 4년과정'이라는 지원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가? ▷일반 영어외에 학교에서 제공하는 UC인정 영어과목에 해당되는 클래스 라면 동시에 선택해도 가능하다. -AP 환경과학(enviornment science) 클래스도 '실험과학'과목으로 인정되는가? ▷그렇다. UC는 2년과정의 실험과학클래스 이수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AP환경과학 외에 다른 1년과정은 생물 화학 물리학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중학교에서 이미 Algebra I과 Geometry를 끝내고 고교에서는 Algebra 2와 Trigonometry를 끝냈다. 현재 12학년에서 AP Statistics를 택하고 있는데 드롭(drop)하려고 한다. 그렇다면 고교에서 선택한 수학이 2년만에 안되는데 지원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가? ▷UC지원조건에 따르면 UC인정 수학과목3년(필수)또는 4년(권장)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이 학생의 경우 이미 UC인정 수학과목을 3년 이수한 것으로 인정된다. 그러나 희망전공을 알 수는 없지만 AP Statististic는 입학심사시 경쟁력을 높여주는 클래스이기 때문에 되도록 드롭하지 하지 말 것을 권한다. -고교에서 다른 수학은 선택하지 않고 곧바로 AP Statistics나 AP Calculus를 선택했다며 3년과정을 선택한 것으로 인정되나? ▷Statistics는 Algebra I과 Algebra II까지는 인정되지만 Geometry는 커버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경우 Geometry는 별도로 선택해야 한다. 반면에 Calculus는 이 하나로 모든 수학을 커버하기 때문에 3년과정으로 인정된다.단선택하지 않은 수학은 GPA에 가산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AP Calculus도 선택하지 않고 그냥 AP시험에만 응시 3점 이상의 성적을 받은 것만으로도 수학 3년 과정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되나? ▷그렇다. 김소영 기자

2008-07-20

[UC지원 일문일답-5] D·F학점 재수강 기회 단 한번뿐

고교생활은 아무래도 대학준비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과목을 선택할 때나, 클럽활동, 과외활동 및 봉사활동을 할 때도 대학진학과 연결지켜볼 수 밖에 없다. 그 가운데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종종 의문을 갖게 된다. 어떻게 하면 더 대학진학시 도움이 될까. 물론 개인마다 그 질문의 내용은 다양할 수 있다. UC는 이러한 문제에 봉착한 UC지망학생들을 위해 학생들이 종종 가질 수 있는 크고 작은 의문사항 들에 대해 웹사이트를 통해 답을 주고 있다. 마침 웹사이트에 공개된 질문사항들은 한인 학생들에게도 충분히 닥칠 수 있는 상황이어서 시리즈로 정리한다. 오늘은 재수강(repeating class) 수칙에 대해 알아본다. -9학년에 a~g코스중에서 C학점 받은 과목을 10학년에 다시 택해서 더 높은 학점을 받아도 되는가? ▷D나 F학점을 받은 과목만 재수강이 가능하다. 이 경우 다시 수강해서 A나 B학점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인정되지 않는다. -D나 F학점을 받은 과목을 재수강해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면 이를 지원대학에 어떻게 알릴 수 있는가? ▷대학 지원서에서 학생이 스스로 두 점수 모두를 기입해야 한다. 그러면 UC가 지원서를 바탕으로 GPA를 계산한다. 학교는 교육구나 학교의 수칙을 바탕으로 성적증명서를 발급하면 된다. - 만일 UC로부터 입학허가를 받은 후 12학년 2학기 선택과목 중 a~g 코스에서 D나 F를 받았다면 졸업 후 서머스쿨에서 이를 재수강할 수 있는가? ▷가능하지 않다. 이런 경우 입학허가를 한 UC캠퍼스 어드미션스 오피스에 직접 전화해 점수가 떨어진 사실을 알린후 어떤 대책방안이 있는 지 상의해야 한다. - 고교생이 여름방학동안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Trig analysis'를 택한 후 다시 고교에서 같은 과목을 수강할 수 있는가?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이수한 클라스에 대해 C학점 이상을 받았다면 고교에서 재수강하더라도 커뮤니티 칼리지 학점이 적용된다. 아울러 고교에서 수강한 클라스는 학점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 재수강에 대한 기본 수칙은 무엇인가? ▷대학 신입 지원생의 경우 C학점만 이상만 a~g코스를 수강한 것으로 인정된다. D나 F를 받은 클라스는 반드시 재수강해 C학점 이상을 취득하거나 한단계 높은(수학이나 외국어에만 적용)클라스를 수강함으로써 D나 F 받은 클라스에 대한 학점을 인정받아야만 한다. 재수강 코스에 대한 제한은 없지만 한 코스에 대해 단 한 번의 재수강만 가능하다. -만일 고교생이 Spanish 2를 선택한 후 다른학교에서 Honors Spanish 2를 선택했다면 어떤 학점이 인정되는가? ▷먼저 선택한 Spanish 2를 C학점 이상으로 이수하였다고 가정할 때 두번 째 선택한 Honors 클라스에 대한 학점은 인정되지 않는다. -만일 AP Chemistry에서 12학기 모두 D를 받은 후 다음 해에 일반 Chemistry를 수강 A를 받았다면 재수강한 것으로 인정되는가? ▷재수강은 반드시 똑같은 클라스를 선택한 것이란 원칙을 갖는다. 두 코스 모두에 대한 학점이 GPA에 계산된다.

2008-07-1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